sori.studio

workspace

기능 정의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핵심 문서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능 정의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능 정의서는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을 상세하게 정의하고 문서화하는 도구로, 개발팀과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명확히 합니다. 아래에서는 제품 개발의 핵심 단계와 기능 정의서 작성 방법 및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제품 개발의 핵심 단계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요구 사항 수집: 이해관계자와의 회의를 통해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문서화합니다.기획: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제품의 범위와 기능을 정의하고, 프로젝트 일정과 예산을 수립합니다디자인: 제품의 UI/UX를 설계하고,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합니다.개발: 디자인을..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과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는 현대 조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들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업무를 담당하며, 전략적인 계획과 효율적인 실행을 통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이들은 프로젝트의 이해 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팀원들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하여 프로젝트의 품질과 일정을 유지하고 개선합니다.프로젝트 매니저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과 리더십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들은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비용, 품질, 위험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팀원들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여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아래에서는 프로젝트 매니저가 수행하는 주요 역할과 책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관련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
3-2-1 백업 전략: 데이터 안전을 위한 최적의 방법
데이터는 현대 비즈니스와 개인 모두에게 중요한 자산입니다. 하지만 데이터 손실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예를들면 갑자기 컴퓨터 하드가 고장난다거나, 많은 자료가 담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분실한다거나, 또는 악성 소프트웨어나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데이터가 손상 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백업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3-2-1 백업 전략'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의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데 탁월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2-1 백업 전략이란?3-2-1 백업 전략은 세 가지 중요한 규칙을 따르는 것입니다:• 3 개의 백업 복제본 유지: 중요한 데이터를 세 개의 독립적인 위치에 백업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하나의 장소에서 손..
카카오톡 다중 설치 가이드: 맥에서 두 개 이상의 카카오톡 사용하기
맥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카카오톡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같은 앱을 여러 개 설치하고 복수의 계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카카오톡 계정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라면 복제된 카카오톡 앱을 사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이 글에서는 맥에서 카카오톡을 여러 개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카카오톡을 복수로 사용하는 경우저의 경우 Android와 iOS 모두 개발에 필요하다보니 각각 업무용과 개인용 휴대폰으로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이 경우가 아니더라도 회사에서 폰을 지급하는 경우 2대 이상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분이 많기도하고, 2대 이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최근 eSIM이나 듀얼심 기능이 탑재된 기종들이 보급되면서 하나의 휴대폰에서 두 개..
workspace/web
2025.04.13
워드프레스 게시글에 댓글 기능 붙이기 (REST API 기반)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6편게시물에 댓글 보기 & 작성 기능 추가하기 (댓글 API 활용) 🧭 게시물 클릭 →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는 구조 포스팅은 따로 하지 않았지만 게시물 목록 화면(index.html)에서 각 게시물 하단에 각 게시물의 링크를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는 버튼과, 현재 게시물에 작성된 댓글의 개수를 보여지도록 구현해놓은 상태입니다.여기서 댓글을 클릭하면 id를 포함한 쿼리 파라미터를 이용해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설정했습니다.location.href = `post.html?id=${post.id}`; 그렇게 이동한 post.html에서는 URL에서 id 값을 추출하여 해당 게시물을 불러옵니다.const postId = new URL..
workspace/web
2025.04.12
워드프레스 글에 이미지 추가하기 (커스텀 필드 활용)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5편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게시물에 연결하기 (커스텀 필드 활용) 이제 다시 글쓰기로 돌아와 사용자들이 글을 작성할 때 이미지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도록 구현할 것입니다.짧은 텍스트 중심의 트위터 스타일 웹 앱이지만, 이미지가 추가되면 콘텐츠의 전달력과 몰입도가 확실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인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봤습니다. 목표이미지 선택 및 미리보기최대 8장까지 업로드 제한워드프레스 Media API를 통한 이미지 등록image_urls라는 커스텀 메타 필드에 이미지 URL 저장 왜 커스텀 메타 필드가 필요한가?워드프레스에서 대표 이미지(featured_media)는 하나만 설정할 수 있고, 본문(content)..
workspace/web
2025.04.11
워드프레스 사용자 프로필 이름 다루기 (display_name 사용법)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4편워드프레스 사용자 프로필 이름 다루기 (display_name 사용법) 이전 3편에서는 일반 사용자도 직접 회원가입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했고, REST API로 간단하게 작성자 권한의 유저를 생성하는 방법까지 확인했다.큰 항목들은 처리가 된거같고 앞으로는 조금씩 수정을 하며 보기 좋은 사이트로 바꿔가는 과정만 남았다.이번에 해볼것은, 가입된 유저의 표시 이름(display_name)을 닉네임(nickname)으로 자동 설정해서 글 목록에 사용자 이름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 왜 표시 이름(display_name)을 따로 설정해야 할까?워드프레스에서는 회원가입 시 사용자 계정 이름(username)이 기본적으..
workspace/web
2025.04.10
워드프레스 사용자 회원가입 기능 직접 만들기 (플러그인 활용)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3편워드프레스에서 일반 사용자 회원가입 기능 만들기 (커스텀 플러그인 활용) 이제 글을 불러와서 보여줄 수 있고, 사용자가 글을 쓸 수 있도록 로그인하고, JWT 인증을 이용해서 게시물을 작성하는 기능까지 붙여봤다.이제 기본적인 '보고', ‘쓰기’ 흐름은 완성된 셈이다.그렇다면 다음 단계는?바로 일반 사용자도 스스로 회원가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왜 회원가입이 필요할까?트위터처럼 짧게 글을 쓰는 구조로 사이트를 만들기로 했기 때문에,관리자 혼자 블로그처럼 글을 계속 쓰는 방식이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자유롭게 글을 남길 수 있어야 한다.그래서 사용자 계정이 필요하고, 그 사용자들이 로그인해서 글을 쓸 수 있어야 한다.그러려면 ..
workspace/web
2025.04.09
워드프레스 로그인 & 글 작성 직접 구현하기 (JWT 인증)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2편워드프레스로 로그인 & 글쓰기 직접 구현하기 (JWT 인증 사용) 지난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등록된 게시물을 가져와서 웹사이트에 표시하는 걸 해봤다.REST API가 잘 동작하는것을 확인했으니 이제 이것을 이용해서 원하는 사이트를 만들어 볼 차례이다. 무엇을 만들 것인가이번 프로젝트는 트위터처럼 짧고 간단한 글을 남기는 구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그 이유는, 나에게 있었던 일이나 게임 플레이 기록, 구매한 물건 등 다양한 일상들을 블로그 글이라고 하기엔 애매할 정도로 짧게 남기고 싶었기 때문이다.“언제, 어떤 일이 있었다” 정도만 빠르게 기록할 수 있는 형식을 고민하다가, 트위터처럼 가볍게 글을 쓸 수 있는 구..
workspace/web
2025.04.08
워드프레스에서 REST API로 글 목록 불러오기
📘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나만의 사이트 만들기 - 1편워드프레스로 게시물 목록 불러오기 (GET 요청 활용) 웹사이트를 구축할 때 가장 쉬우면서도 유연하게 CMS와 백엔드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워드프레스라고 생각한다.기본적인 관리 UI도 잘 되어 있고, 무엇보다 REST API를 통해 데이터를 쉽게 가져오고 다룰 수 있어서 프론트엔드는 내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그래서 이번에 워드프레스 REST API를 이용해서 내가 원하는 스타일의 웹사이트를 직접 만들어보려고 한다.이 과정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시리즈로 기록해보려고 하고,이 글들이 나처럼 프론트 중심으로 작업을 하면서 CMS가 필요했던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이 되면 좋겠다.기록은 복잡하게 쓰지 않고, 최대한 내..